토토놀이터 검증 사이트, 검증된 놀이터, 토토커뮤니티 | 토토왕뚜껑

분류 자유게시판

[단독] 베이킹소다도 수입 '스톱'…제2 요소수 사태 터지나?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야동부장73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베이킹소다라고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드라마 오징어게임에 나오는 달고나를 만드는 재료이기도 하죠.
식품 첨가물은 물론 세제 원료로도 쓰이는데, 사실상 전량 중국에서 수입해 왔습니다.
그런데, 요즘 공급이 멈추면서 국내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뿐 아닙니다. 제2의 요소수 사태를 일으킬 원료가 줄줄이 대기 중이라고 합니다.
박규원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인터넷 오픈마켓 판매글입니다.

중국산 베이킹소다를 구할 수 없어 터키산으로 대체한다는 공지가 적혀있습니다.

탄산수소나트륨, 일명 베이킹소다는 제빵이나 청소용품 등 우리 일상과 밀접한 곳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입니다.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끈 오징어게임 속 달고나에도 이 베이킹소다가 들어갑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 생산량이 떨어지고 사실상 수출정지에 들어서며 비상이 걸렸습니다.

▶ 인터뷰(☎) : 베이킹소다 수입업체 A
- "지금 중국에서 들어오는 물건들이 다 안 들어와서 가격이 다 오르고 있고 공급이 잘 안 되고…."

베이킹소다는 국내 생산 없이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합니다.

▶ 인터뷰(☎) : 베이킹소다 수입업체 B
- "생산 자체를 잘 안 해 가지고…. 선적도 중국 마음대로 해서요. 2.5배 정도로 올랐을 거예요 단가가."

문제는 베이킹소다처럼 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이 한둘이 아니라는 겁니다.

▶ 인터뷰(☎) :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요소수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고요. 특정국가에 의존하는 형태가 너무 지속되거나 그 정도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다시 재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정부는 수입품 공급망 전반을 조사할 방침이지만 일단은 요소수 사태 해결에 집중한다는 입장입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이 수입한 품목 1만2천586개 중 3천941개, 31%는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80% 이상이었고, 중국 수입 비율이 80% 이상인 품목은 1,850개로 미국과 일본 보다 3배 이상 많았습니다.

제2, 제3의 요소수 사태 발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이유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17

코코에몽님의 댓글

  • 코코에몽
  • 작성일
???

거대한 링크 글씨만 보여요...

손톱위그안에이세상모든게있는남…님의 댓글

  • 손톱위그안에이세상모든게있는남…
  • 작성일
짱께만 믿고 수입하니깐 이 난리나지

애플스토어님의 댓글

  • 애플스토어
  • 작성일
이제껏 마냥 싸다고 중국에 올인한 결과가 고스란히 나타나네요

궁금23님의 댓글

  • 궁금23
  • 작성일
중국은 적임. 소련제를구입하자

大韓國民님의 댓글

  • 大韓國民
  • 작성일
이 참에 원자재 다 탈중국해라

사아기1101님의 댓글

  • 사아기1101
  • 작성일
맞는말 너무 중국에만 의존했지

pppp4님의 댓글

  • pppp4
  • 작성일
미국에서 엄청나게 나오는데

중국공장 가동 못하니 이번기회에 중국산 탈퇴해야지

빽룸님의 댓글

  • 빽룸
  • 작성일
다변화 해야 할듯

암흑왕자님의 댓글

  • 암흑왕자
  • 작성일
이 기회에 수입선 다양화하면 좋죠.

이래서그렇대요님의 댓글

  • 이래서그렇대요
  • 작성일
관련 제품들 단가 인상소식들이 곧 전해지겠군요.

빵은 가뜩이나 비싼데 더 비싸지려나?

상춘객님의 댓글

  • 상춘객
  • 작성일
중국몽의 결과 근데 중국 바로 옆에서 저런 저가제품들을 가격경쟁으로 이기긴 힘들듯.

flah님의 댓글

  • flah
  • 작성일
미리미리 대비해라

프로추어님의 댓글

  • 프로추어
  • 작성일
그래그래 다막아봐라 망하나 안망하나 한번해보자 없으면 안쓰지 뭘...

한국 빵 비싼건 뭐 외국인들도 뭐라하더만 다 망해보자구~

BABA72님의 댓글

  • BABA72
  • 작성일
중국몽이 아니라, 이제까지 전세계가 중국의 싼 제품을 사용해서 인플레이션이 없었음. 돈을 그리 풀어도 경제학과 다르게 인플레이션이 없어 무슨 신 경제니.. 다른 이유를 들었는데... 결국 중국이 정상화에 들어가니.. 물가가 오르기 시작함. 중국이 수출보다 소비가 늘고.. 그리고 환경 등을 따지기 시작하니, 원가가 오르고.. 물류 대란이 이러나다 보니, 각 국가간의 물자 교류가 원할하지 않고.. 서로 본인 국가를 우선시하게 되고...

결국 단가가 오르기 시작함.

전 세계가 미국과 중국의 싸움에서 시작하여 서로를 믿지 못하고.. 원가에 상관없이 본국에서 생산을 하려하고.. 이러다 보니 원가가 올라가고...

내 생각인데.. 이 물가 상승이 단순히 1~2년내에 끝나지 않고.. 계속될 것 같음.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1~2년 안에 좋아 질리 없으니...

70년대 오일 쇼크 때 어떻게 되었는지 연구하고.. 대비를 해야 할 것 같음. 젊은 세대가 원하던 은행금리 10%대가 다시 생길지도...

뭐 내 생각이니 믿지는 마시고..

족발조아2님의 댓글

  • 족발조아2
  • 작성일
어차피 빵 비싸서 안사먹어서...

버스차고지님의 댓글

  • 버스차고지
  • 작성일
기레기들이 이때다하고 달려드네..

언제나 위기는 찾아오고 우린 그걸 또 넘기고..
전체 73,945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 홍보게시판
+ 더보기
  • 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통계
  • 현재 접속자 155(5) 명
  • 오늘 방문자 10,612 명
  • 어제 방문자 39,592 명
  • 최대 방문자 70,128 명
  • 전체 방문자 30,108,921 명
  • 전체 회원수 89,61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