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토놀이터 검증 사이트, 검증된 놀이터, 토토커뮤니티 | 토토왕뚜껑

분류 자유게시판

군 복무시 국민연금 강제가입 고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와뽀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청년들 첫 국민연금납부는 군대에서 하게 되겠군요..


병사월급 올랐으니…"군 복무기간 국민연금 강제가입 고려해야"

연합뉴스 최종수정 2023-05-06 12:38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서 의견 나와

올해 병사 월급 병장 기준 100만원…2025년까지 150만원으로 인상 계획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병사 월급 인상을 고려해 군 복무기간 국민연금에 강제 가입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돼 실제로 실현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6일 정부가 연금 개혁을 위해 가동 중인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 11차 회의 자료를 보면, 지난달 7일 회의에서 이른바 국민연금 크레딧제도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런 견해가 나왔다.

크레딧제도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행위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현재 출산크레딧, 군복무 크레딧 등을 시행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18세 이상에서 59세 이하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지만 재학, 군 복무, 실직, 폐업 등으로 소득 활동을 하지 않으면 납부 예외를 신청해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납부 예외 기간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 포함되지 않기에 그만큼 가입 기간이 줄어들어 나중에 받게 될 연금액이 줄게 된다.

군복무 크레딧은 가입자가 이런 불이익을 받지 않게 현역병이나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군에서 복무한 기간을 가입 기간으로 얹어주는 장치다.

지난 2008년 도입된 군복무 크레딧에 드는 재원은 전액 세금으로 충당한다.

문제는 군복무 크레딧으로 인정받는 가입 기간이 실제 군 복무기간과 상관없이 6개월에 불과하고, 인정소득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월액(A값)의 50%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2023년 A값은 286만1천91원이다.

이런 이유로 크레딧제도 개선방안을 발제한 국민연금연구원 정인영 박사는 군복무 크레딧을 사후 지원방식이 아니라 사전 지원방식으로 바꾸고, 군 복무 전체 기간으로 넓히며 인정소득도 A값의 100%로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회의에서는 군복무 크레딧을 사전 지원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인정 기간을 확대하는 게 우선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특히 병사의 봉급이 오른 상황을 반영해 아예 이번 기회에 군 복무기간의 납부예외 제도를 폐지하고 국민연금에 강제 가입해 보험료를 내게 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실제로 병사 처우는 많이 개선됐다. 심지어 첨단무기 도입이 지연되는 것 아니냐고 일각에서 우려가 나올 정도로 병사 월급은 상당히 많이 올랐다.

국방부에 따르면 병사 월급은 병장 기준으로 작년 67만6천100원에서 32만3천900원이 올라 올해 100만원이 됐다. 상병은 61만200원에서 80만원, 일병은 55만2천100원에서 68만원, 이병은 51만100원에서 60만원으로 각각 월급이 올랐다.

정부는 병사 봉급을 국정과제에서 제시한 대로 2025년까지 150만원(병장)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국회예산정책처는 '2023년도 예산안 총괄 분석' 보고서에서 병사 봉급 인상의 순기능을 평가하면서도 향후 방위력개선비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병사 월급 인상으로 국방 분야 경직성 예산이 증가해 첨단 무기체계 획득 지연과 초급 간부 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자료

댓글 19

누님님의 댓글

  • 누님
  • 작성일
병사 월급 인상으로 국방 분야 경직성 예산이 증가해 첨단 무기체계 획득 지연과 초급 간부 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

=> 개소리하지마라 병사들 월급따위 별거 아니고 니들이 생계형비리라고 처 먹는 것만 안하면 다하고 남아돈다

스타킹매니아님의 댓글

  • 스타킹매니아
  • 작성일
저거 댓글로 그러던대



국민보험 들었으니 이제 군대 들어간 것도 경력으로 처줌? 이라고 ㅋㅋㅋㅋ



왜? 군대 들어가서 국민보험 들고 했잔아. 그럼 경력직 아님 ? 이러던대 ㅋㅋㅋㅋㅋ



문제는 진짜 경력직 처주면 이제 여초에서 들고일어남 ㅋㅋㅋㅋㅋ

포버리전용님의 댓글

  • 포버리전용
  • 작성일
호봉수 쳐주지 않나요? 울 회사는 2호봉 쳐주는데. ㄷㄷ

m757575님의 댓글

  • m757575
  • 작성일
하사 말뚝 가능ㅋㅋ.

dkdieldkdj님의 댓글

  • dkdieldkdj
  • 작성일
전 찬성함...



국민연금 기금 고갈되면 연금 못받는다는 애기 계속 퍼트리는데...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미 세금으로 지원하고 있음.

이미 기초, 군인, 공무원 연금은 세금으로 지원하고 있는지 오래됐고..



연금제도 없애겠다는 애기는 사회불평등을 가속화 시키고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높아서 국정운영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도함..(애초에 국민연금 없어지면 보험회사 배때기 채워주는 개별연금이 그 자리 채워주는데...지금 삼성등 대기업 보험회사에 운영하는 저축연금 금리 보고 오시면 국민연금이 얼마나 혜자인줄 알게 되심)



이런 상황에서 국민연금은 장기간 오래 부을수록 이득이 되고.. 애초에 군대가기전에 직장생활했던 사람이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못할경우

국민연금 시작 일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복무시절에 가입하는게 도움이 많이 됨.

야호야호오야님의 댓글

  • 야호야호오야
  • 작성일
군대는 근로/노동이 아니라 부역입니다



빨리가입해서 쭉내는게 "받을수만 있다면" 좋을수는있는데

1. 강제 는 문제의 소지가있다

2. 그런게 걱정되면 최저임금이나 챙겨주고 말을해야된다



라고생각해요

군대가는거도 힘들텐데 빨대까지 꼽으려하다니 위원회가 나쁘다고생각

ptw1님의 댓글

  • ptw1
  • 작성일
국민연금 ㄷㄷㄷㄷ

newcape님의 댓글

  • newcape
  • 작성일
이 먼 개소리인지... 저 정책 만드는 ㅅㄲ들 군대나 갔다왔나 모르겠네요.

정 넣으려면 군인연금으로 넣으라고나 하지... (직업군인이 아닌이상 말이 않되긴 하지만...)

버터옐로우님의 댓글

  • 버터옐로우
  • 작성일
본질을 개선할 생각은 안하고..

하이패스님의 댓글

  • 하이패스
  • 작성일
국민연금 강제 징수할거면

애들 출퇴근 시켜야할건데;

최저시급도 안되는 급여로 국민연금까지 걷어 갈거면

24시간 근무 시간 쳐줘야 할건데

민성이20님의 댓글

  • 민성이20
  • 작성일
저건 당연한듯...



하사관 월급하고 비슷해질건데... 연금 떼는건 당연

우우움님의 댓글

  • 우우움
  • 작성일
연금이 지속된다고 하면, 기간을 늘릴 수 있는 거니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나중에는 생활비 들면서 어렵게 내지만, 저 때는 생활비가 나갈 일이 없으니.....

그나 저나 군인 월급에서 연금 떼 갈 수 있을 정도로 액수가 올랐다는 건 다행이네요.

더 올라야 할텐데...... 피값은 20대 기회 비용을 생각하면.........

Rapis님의 댓글

  • Rapis
  • 작성일
뜯을수있는곳은 다 뜯어 가려는구나............................

엑스페리아님의 댓글

  • 엑스페리아
  • 작성일
국방부 비리가 그 규모가 가장 스펙터클 하다는데....

goyo님의 댓글

  • goyo
  • 작성일
군인 수가 줄어드는데 월급은 왜 안 올리지

dlafie35531님의 댓글

  • dlafie35531
  • 작성일
별로네요

asds1님의 댓글

  • asds1
  • 작성일
도대체 왜..? 싶은게 좀 있네요
전체 82,896 / 5144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 홍보게시판
+ 더보기
  • 글이 없습니다.
  • 사이트 통계
  • 현재 접속자 72(10) 명
  • 오늘 방문자 3,486 명
  • 어제 방문자 39,277 명
  • 최대 방문자 70,128 명
  • 전체 방문자 42,502,533 명
  • 전체 회원수 94,846 명